티스토리 뷰

네이버 키워드 광고 프리미엄 로그 분석을 위한 스크립트 설치를 끝내고 검수 신청을 하였습니다. 검수에는 1~2일이 걸린다고 합니다. 별 문제가 없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제가 개발에 대한 지식이 전무하여 자세한 설명은 어렵겠지만, 대략적으로 제가 이해한 선에서 스크립트 설치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우선 네이버 키워드 광고 프리미엄 로그 분석을 신청하면 안내 메일이 옵니다. 여기에서 [자가 설치] 를 클릭하면 설치매뉴얼다운로드 버튼이 보이는데요, 이 매뉴얼과 네이버 도움말에 있는 매뉴얼을 동시에 참고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프리미엄 로그 분석 신청 및 설치 방법 페이지 하단에 프리미엄 로그 분석 자가 설치 매뉴얼 다운로드 링크가 있습니다.

스크립트


스크립트에는 공통 적용 스크립트 전환 분석 스크립트 가 있습니다.

공통 적용 스크립트

해당 스크립트는 모든 페이지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즉, 해당 스크립트를 통해 로그 분석이 가능해지는 것입니다. 공통 적용 스크립트를 설치하면 페이지 PV, 체류시간, 방문, 전환 등의 지표 측정을 위한 기본 스크립트입니다.
매뉴얼을 보면 다음과 같은 설명이 나옵니다.
공통 적용 스크립트를 copy하셔서 웹 로그 분석을 원하는 모든 페이지의 html 소스페이지에 넣으시면 됩니다.
그런데, 제가 듣기로 구글 어낼리틱스의 경우 메인 페이지 header 에만 스크립트를 설치하면 모든 페이지에 대한 로그 분석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런데, 왜 네이버 프리미엄 로그 분석 공통 적용 스크립트는 모든 페이지에 설치가 되어야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이 부분은 아직 찾아보지 않아서 추후 알아볼 예정입니다. 비슷하게 페이스북 픽셀도 공통 적용 스크립트의 경우 모든 페이지에 설치가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프리미엄 로그 분석으로 돌아가서, 도움말의 매뉴얼을 확인하면 모든 페이지에서 스크립트가 각 1회씩 실행되도록 하기 위해, 모든 페이지에 개별적으로 설치를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라는 설명이 나옵니다. 역시, 처음에는 이 스크립트을 어떻게 모든 페이지에 설치하지? 라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왜냐하면 서브 페이지가 무수히 많은 사이트가 무수히 많기 때문입니다. 문득 얼마전 GA 강의를 들으면서 강사님이 하셨던 얘기가 생각났습니다. "GA는 결국 노가다다!", 이를 좀 더 확장해서 얘기하면 "로그 분석은 결국 노가다다"라는 말이 될 것 같습니다.
제가 개발자가 아니기 때문에 매뉴얼에 나와있는 설명을 인용하는 수준에서 설치 방법을 적어보겠습니다.
모든 페이지에서 스크립트가 각 1회씩 실행되도록 하기 위해, 모든 페이지에 개별적으로 설치를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방식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사이트 이용 시 언제나 실행되는 HTML 코드 (예: 하단 회사 정보 등)를 별도의 파일로 만들고 (A)
  • 이 파일에 공통 스크립트를 심고
  • 이용자에게 보여줄 페이지를 구성할 때, 앞서의 언제나 열리는 HTML 코드 (A)의 파일을 include 라는 방식을 이용하여 페이지에 포함
위와 같은 방식을 따르면 1개 파일에만 스크립트를 삽입하였지만 실제로는 이용자가 사이트를 이용하는 동안 모든 페이지에서 스크립트가 불리기 때문에 효율적 구현이 가능합니다.
설치의 용이함을 위하여 가능하면 나중에 불리는 파일(예: 하단 회사정보, Copyright 등)에 공통 스크립트를 설치해주시기 바랍니다. 공통스크립트 삽입 위치는 어디든 상관없으나, 가능하면 HTML 의 body 부분이 끝나는 HTML tag (<body>) 바로 위 근처에 해 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스크립트 코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위에서 언급한 도움말 상의 자가 설치 매뉴얼을 보시면 코드에 주석이 달려 있습니다.

전환 분석 스크립트

전환 분석 스크립트는 전환을 구하기 위해 공통 적용 스크립트와 함께 특정한 페이지에 설치가 됩니다.
안내 메일 매뉴얼에서는 다음과 같이 안내하고 있습니다.
전환 페이지 설정 스크립트를 copy 하셔서 전환 측정을 원하는 페이지 (구매완료페이지 또는 회원가입 페이지 등) 의 html 소스페이지에 넣시면 됩니다. 공통 적용 스크립트 보다 항상 상단에 위치해야 합니다.)
도움말 매뉴얼에서는 다음과 같이 안내하고 있습니다.
*주의
전환페이지 (예: 구매완료페이지)에서 전환스크립트가 동작하고 난 뒤, 공통스크립트가 호출이 되어야 로그가 전송이 되면서 전환이 잡힙니다. 전환스크립트는 전환에 필요한 정보를 세팅하는 역할만 하며, 로그를 전송하는 method 는 공통 적용 스크립트의 wcs_dp (_nasa) 이므로, 공통스크립트가 호출된 뒤 전환 스크립트가 호출되면 전환이 잡히지 않습니다.
설치 위치 외에 전환 분석 스크립트의 전환 추적 함수에 전환유형 전환값 또는 전환가치을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2개의 매뉴얼에서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 주면 좋겠는데, 그렇지가 않네요. 이 부분은 조정을 좀 해 줬으면 좋겠습니다.)
전환유형
  • 구매완료
    • 변수값: 1
    • 스크립트삽입 페이지: 구매완료 페이지
  • 회원가입
    • 변수값: 2
    • 스크립트삽입 페이지: 회원가입 완료 페이지
  • 장바구니담기
    • 변수값: 3
    • 스크립트삽입 페이지: 장바구니 담기 완료 페이지
  • 신청/예약
    • 변수값: 4
    • 스크립트삽입 페이지: 신청/예약 완료페이지
  • 기타
    • 변수값: 5
    • 스크립트삽입 페이지: 기타 페이지
전환값 또는 전환가치는 도움말 매뉴얼에만 설명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설치하시는 개발자 분들에게 혼선이 올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이 부분도 설치 이메일 매뉴얼에 추가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매뉴얼의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구매(변수값 1)의 경우 전환가치는 매번 달라질 것이므로 변수를 입력해 놓으시기 바랍니다.
  • 신청/예약(변수값 4)의 경우 전환가치를 아시는 경우 변수/값을 넣으시고 그렇지 않은 경우 1을 넣으시기 바랍니다.
  • 그 외의 유형(변수값 2, 3, 5)은 전환가치를 추정하실 수 있으시면 그 값을 넣으시되 혹시 추정이 어려운 경우 1을 넣으시기 바랍니다.

검수신청하기


전환 가치에 대한 설명은 검수 신청을 하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검수신청을 할 때 다음과 같은 사항을 기입해야 합니다.
전환을 측정하고 싶은 전환 유형 선택
  • 총 5가지 전환(구매완료/회원가입/장바구니/신청,예약/기타) 중 전환 스크립트를 선택한 것들을 선택해 주면 됩니다.
전환가치 기입
  • 구매완료의 경우 전환 가치가 매출액으로 이미 기재되어 있습니다.
  • 나머지 회원가입, 장바구니, 신청/예약, 기타 에는 전환가치를 기입하여야 합니다.
  • 추가하여 신청/예약, 기타를 선택 시에는 전환 세팅 페이지URL 또는 메뉴 정보를 남겨야합니다.
테스트 키워드 기입
  • 테스트 진행을 위해 현재 광고 중인 사이트 검색광고 키워드를 입력하면 됩니다.
전환 가치 중 구매완료의 경우 전환 가치는 매번 달라지므로(구매 금액이니깐요) 전환 분석 스크립트 내 전환가치는 변수만 삽입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나머지는 모두 횟수이기 때문에 숫자로 각 비즈니스에 따라 가중치를 설정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아니면, 추후 전환 데이터가 나오면 가중치야 분석 시 적용하면 되므로 전부 1을 기재하셔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검수 신청 페이지에 전환가치에 대한 설명이 나옵니다.
전환가치란?
선택하신 전환명에 해당하는 페이지에 도달하였을때 금전적인 가치 또는 가중치를 부여합니다. 예) 1000
문장을 문맥이 맞지 않게 작성한 것 같지만, 간단히 얘기하자면 전환가치는 해당 전환 값이 가지는 금전적인 가치 또는 가중치 란 것입니다.만약 LTV가 측정되어 있다면, 회원가입에도 금전적인 가치가 부여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LTV도 변화할 터이고, 매출액 외의 가중치도 수시로 변할 수 있어 로그 분석 상 전환가치는 1로 설정하시는 것이 가장 무난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추후 검수 결과를 보면서 알게 되는 것이 있으면 추가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etc > WebAnaly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검색 광고 프리미엄 로그 분석 신청  (0) 2018.04.09